굿모닝 함운외과

“나의 아침은 언제나 굿모닝"
항상 굿모닝 함운외과에서는

신뢰하고 믿을수 있고 끝까지 함께하는 건강주치의가 되겠습니다.

의학컬럼

의학컬럼

● 변 비
....................................................................


........................
.......................................................
굿모닝 대장 항문외과 변비 클리닉


변비는 배변 시 불편을 초래하거나 배변곤란 등이 있을 때를 표현하는 증상으로 병명이 아니며 따라서 치료를 위해서는 변비를 일으킨 원인적 분류에 따른 병명을 찾아 내어야 합니다.

변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원 홈페이지 상단 책갈피를 클릭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변비의 정의, 원인적 종류(분류), 진단 및 치료에 대해서 정리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정의

1. 일반적으로 대변의 횟수가 적거나, 대변의 양이 적거나, 대변을 보기 힘들거나, 대변이 너무 굳거나, 변을 보아도 시원하지 않은 경우, 변비 약을 복용하거나 관장을 해야만 변을 볼 수 있는 경우 변비가 있다고 표현하는데 의학적으로는

2. 1주일에 2회 이하의 배변
3. 배변의 양이 35g이하
4. 배변의 25%이상에서 매우 힘이 들 경우
5. 배변의 25%이상에서 굳은 변을 보는 경우
6. 배변의 25%이상에서 변을 완전히 배설하지 못하는 경우 중 2가지 이상이 있으면서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변비라고 합니다.


2. 변비의 종류 (분류)

1) 기질적 변비

a. 1차적 대장 및 항문 원인:
a) 대장 협착이나 폐쇄(대장 암, 직장암, 선천성 거대 결장, 대장염, 등등)
b) 항문 질환(치핵, 치루, 치열, 항문암, 항문관 협착, 직장류, 직장 항문관 점막 중첩증 등등)
b. 2차적 대장 및 항문 원인:
a) 대사 및 내분비 장애 (당뇨병, 갑상선 기능 저하 증, 요독증, 납중독 등등)
b) 신경 조직 장애(자율신경 질환, 뇌종양, 척추 종양, 척추 손상 등등)
c) 복부 및 골반 근육의 약화 (복부 수술, 복수, 복근력 쇠약 등등)
d) 약물 치료 질환 (항우울제, 진정제, 항 고혈압제, 이뇨제, 철분제, 칼슘제, 제산제등을 치료로 요하는 질환)

2) 기능성 변비

a. 이완성 변비:결장 근 무력증, 결장 근 신경이상, 변비 약 장기 복용 (듈코락스, 알로에, 비코그린, 동규자차 등등...)
b. 경련성 변비: 스트레스, 과민성 대장 증후군
c. 직장형 변비: 치골 직장 근 이상 항진 증, 항문괄약근 이완 부전, 항문 연축, 배변 과정에 관여하는 복압 및 직장 항문관압의 협조 과정의 이상
d. 습관형 변비: 불규칙한 배변 습관, 금식 다이어트, 수분 결핍(수분섭취 부족, 과도한 땀, 설사 후 일시적, 다뇨), 저 지방 저 섬유 고 단백식, 습관적 긴 배변 시간 , 임신


3. 변비의 진단 (검사)

1) 대장 통과 시간 측정: 방사성 비 투과 표식자가 들어 있는 캡슐을 먹고 일정 시간이지나 사진을 촬영하면 원형 고리의 표식자가 사진상 대장내에 분포되어 있어 대장의 운동성을 검사
2) 풍선 배출 검사: 직장 항문관에 약 200cc가량의 풍선을 내치하여 배변과 같은 작용으로 배출 가능 여부 검사
3) 배변 영화 촬영술: 방사성 비투과 물질을 포함한 인공배변(녹말반죽)을 직장 내 넣은 후 배변과정을 사진으로 촬영
4) 직장 항문 내압 검사: 항문괄약근 기능, 직장 점막 감각능, 직장 및 항문 괄약근 이완능, 항문관 고압력대 분포, 휴지기 항문관압 등등에 대한 평가
5) 항문 괄약근 근전도 검사: 항문관 주위 괄약근의 수축 및 이완능
6) 음부 신경 전도 검사: 항문관 주위 괄약근에 대한 신경 반응도
7) 대장 및 항문관 내시경: 대장 및 항문관내 동반 질환의 유무 확인
8) 혈액 검사: 빈혈, 갑상선 질환, 당뇨 등등 만성 전신 질환에 대한 검사


4. 변비의 치료

1) 정신 요법: 과 긴장이나 스트레스등이 원인인 변비
2) 식이 요법: 식단 및 식사 습관의 변형에 따른 습관형 변비
3) 운동 요법: 복근 및 결장 근력 저하, 장 운동 이상 등에 의한 변비
4) 배변 교육: 배변의 습관 및 자세 등의 이상에 의한 변비
5) 약물 요법 및 장 세척: 2차적 대장에 원인을 일으켜 기질적 변비를 일으키는 만성 질환, 장 운동의 기능적 저하 및 소식에 의한 대변의 장내 지연등에 의한 변비
6) 바이오 피드백 요법: 직장 및 항문관 그리고 복압 등 배변 시 관여하는 일련의 협조 과정의 이상에 의한 변비
7) 수술적 요법: 1차적 대장 및 항문에 원인이 존재하는 기질적 변비를 일으키는 대장 항문 질환, 직장 및 항문관 즉, 대변의 배출 관에 존재하는 기질적 질환, 대변의 배출관 (직장항문관)의 구조적 이상 (치핵, 치루, 치열, 직장 류, 내 치핵, 항문관 협착 등등)에 의한 변비

  • 작성일
  •   :  2003-08-25